양도소득세 비조정대상지역 내 아파트 분양권을 양도하는 경우 적용세율
페이지 정보

본문
Q. A주택을 소유한 박대한씨는 2021년 10월 B아파트 분양권을 취득하였습니다. 박대한씨는 2023년 7월 B아파트 분양권을 양도할 예정입니다.
다주택자가 비조정대상지역에 있는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에는 양도소득세를 중과하지 않는다고 하던데, 비조정대상지역 내 아파트 분양권을 양도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중과하지 않나요?
A. 아파트 분양권의 경우 조정대상지역 여부를 불문하고 60%(보유기간 1년 미만인 경우 70%) 세율을 적용합니다. 따라서, 박대한씨의 경우 B아파트 분양권 양도시 세율은 60%입니다.
<주택 분양권 양도소득세 세율(소득법 §104①)>
구분 | 세율 | |
2021.5.31.까지 | 2021.6.1. 이후 | |
조정대상지역 내에 소재 | 50% | - 1년 미만: 70% - 1년 이상: 60% (조정대상지역 내ㆍ외 구분없음) |
조정대상지역 외에 소재 | - 1년 미만: 50% - 1년 이상 2년 미만: 40% - 2년 이상: 기본세율 |
<해석사례> 서면-2020-부동산-2546(2020.09.28.)
「소득세법」 제104조 제1항 제4호에 따라, 「주택법」 제63조의2 제1항 제1호에 따른 조정대상지역(이하 이 조에서 "조정대상지역"이라 한다) 내 주택의 입주자로 선정된 지위(조합원입주권은 제외한다)를 양도하는 경우에는 양도소득 과세표준에 50%*를 적용하는 것이지만, 조정대상지역의 공고가 있은 날 이전에 주택의 입주자로 선정된 지위를 양도하기 위하여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을 지급받은 사실이 증빙서류에 의하여 확인되는 경우에는 보유기간에 따른 세율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 위 해석은 2021.5.31. 이전 조정대상지역 내 분양권을 양도한 사례임
- 이전글주택 매도계약 체결 후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된 경우에도 중과되는지? 22.12.13
- 다음글다주택자 중과 한시 배제기간 중 조정대상지역 내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보유기간에 관계없이 중과배제 되는지? 22.12.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